자연의권리찾기

개요

설립 배경 및 목적

(글로벌)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국제사회 움직임 본격화

  • 2018년 유엔 기후변화에관한국가간협의체(IPCC)의 권고를 받아, 120여 개국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선언, 중국과 일본에 이어 바이든 미국 정부도 동참하여,
    전 세계 메가 트랜드가 됨
    ※ 탄소중립: 배출하는 탄소량=흡수하는 탄소량 (넷 제로)

(대한민국) 20년 12월, 2050탄소중립 추진전략 발표

적응적(Adaptive) 감축에서 능동적(Proactive) 대응으로
탄소중립 · 경제성장 · 삶의 질 동시 향상
  • 3대 정책방향(경제구조의 저탄소화, 신유망 저탄소산업 생태계 조성, 탄소중립사회로의 공정전환) 과 10대 과제(에너지 전환 가속화, 고탄소 산업 구조 혁신,미래모빌리티로 전환, 도시·국토 저탄소화, 신유망 산업 육성, 혁신 생태계 저변 구축, 순환경제 활성화, 취약 산업 계층 보호, 지역 중심의 탄소중립 실현, 탄소중립 사회에 대한 국민인식 제고) 발표

[부산시]그린스마트 도시 실현

지역중심의 탄소중립 실현과 국민인식제고를 위해 부산시의 강점(영화,환경)을 활용, 기후위기를 재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절호의 타이밍

환경이슈, 정책만으로 부족,
라이프 밀착화 필요

영화·영상제, 전시회, 오픈강의, 공모전등 축제형 프로그램 운영, 남녀노소 참여하여 지구환경에 대한 실현의 중요성 인식 제고

청년 타겟 환경분야 스타트업 발굴, 비지니스와 일자리 창출 기회

친환경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와 더불어 급성장하는 그린스타트업, 그린테크기업 발굴과 활성화로 지역 일자리 제공

코로나19이후 변화, 모든 콘텐츠의 "영상화" 대세

비대면 영상콘텐츠산업의 폭발적 성장, 모든 메시지 전달 매체는 영상으로 전환의 시대 도래

기대효과

기후위기, 탄소중립, 친환경의 중요성 국민인식 제고

  • 2050 탄소중립은 한 세대 30년을 내다 본 결정이며, 세대에 걸쳐 준비하고 이행해야하는 국가적 과제로, 국민의 공감과 지지를 위한 민간주도의 매개체 역할
  • 환경주제와 어젠다 관련 국민의 인식개선을 위해 지역 기반의 지속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정적 조직체계 구축

탄소중립, 친환경 주제의 문화·축제·관광·교육 플랫폼 역할

  • 기후위기, 탄소중립, 친환경 주제에 대한 최신 문화 콘텐츠를 공유하고 재미와 교육적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 커뮤니티 형성
  • 지역중심의 콘테츠 발굴과 확산 뿐 아니라 국제교류 및 협력의 소통 채널 역할, 국제사회에서 역할 증대
  • 축제와 관광분야의 장점을 가진 부산의 매력을 활용하여, 부산형 지구환경 축제 구축, 국내 매니아층 확보 및 부산 방문 유도 콘텐츠 확보

지역중심 탄소중립 전개 및 부산 맞춤형 전략, 그린스마트 도시 브랜드 제고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도시경쟁력 평가기준에 환경요소 추가, 부산이 ‘기후위기’ 및 ‘탄소중립’아젠다 선점으로 글로벌 친환경 도시 도약에 기여
  • 부산시의 주요환경정책방향 (저탄소그린도시)을 시민들에게 공유하고, 대외 적으로 파급하여, 부산의 도시브랜드 제고
  •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키워드 중에 하나인 “Green”을 주제로 시민과 국민이 함께 참여하고 즐기는 플랫폼 구축하여, 세계사회 속에 부산의 글로벌 리더 역할 제고